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지정학적 선(라인)과 가능성들(2/2)

 

 

전쟁통인 우크라이나 :

 

젤렌스키는 계엄령 기간 중인데도 우크라이나 군대를 다른 국가로 파견할 수 있는 대통령의 권한에 관한 법안에 서명했습니다. 왜 그랬을까?

 

 

매우 간단한 조합:

 

1. 영국군과 프랑스군이 '안보 보장'을 명분으로 '우크라이나' 일부 지역에 개입

 

2. 이때 젤렌스키는 영국/프랑스 용병(이들은 우크라이나 군대의 정규 부대)을 아프리카, 즉 "사헬 지대"(ISIS/알카에다의 현지 지부를 포함한 이슬람 급진 테러 조직의 통제가 잘 안 되는 지역)로 파견합니다. 이 지역은 말리/니제르/부르키나파소 국경이 만나는 곳이며 사헬 국가 연합입니다. 목표는 이들 국가의 권위(정권)를 전복하는 것입니다.

 

 

 

 

무슨 일까요?

 

프랑스-영국의 "식민지"에 매우 필요하고 이전에는 사실상 무료였던 우라늄/금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만은 아닙니다.

 

 

 

 

미래의 물류

 

유라시아(동남아시아 지역 포함)와 아프리카를 육지로 연결하는 지역을 거쳐 글로벌한 상품 흐름 시스템을 구축됩니다.

 

그런데 이 사헬의 3개국(부르키나파소, 말리, 그리고 니제르)이 앵글로색슨족의 세계 해상 물류 통제로부터 독립했습니다.

 

사헬 지역은 6,000km에 달하며, 홍해(아프리카 동부 해안)에서부터 대륙 전체를 가로질러 세네갈의 서부 대서양 해안까지 뻗어 있습니다.

 

 

 

사헬 국가:

 

에리트레아/수단/차드/니제르/말리/부르키나파소/세네갈.

 

 

러시아가 이들 국가들 중 실질적인 동맹 관계를 맺고 있습니다. 그것이 AES(사헬 국가 연합) - 러시아 "아프리카 군단"이 주둔하고 있는 니제르/말리/부르키나파소입니다.

 

에리트레아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안정적인 친러 국가 중 하나입니다.

 

차드: 작년에 마하마트 이드리스 데비 대통령이 모스크바를 약 3일간 방문한 이후, 차드 정부는 친러시아 AES 블록과 이해관계를 맞추고 프랑스와 미국 군대/기지를 차드에서 "철수"시켰습니다.

 

세네갈 : 같은 이야기: AES를 "테이크 아웃".

 

수단 : 공식 정부는 수단항에 러시아 해군 기지가 주둔하는 데 전면적으로 동의했습니다.

 

위 지도를 보세요. 사헬 지역의 모든 국가는 러시아의 전략적 존재(주둔)에 동의합니다.

 

이렇게 하면 아프리카 동부 해안에서 서부 해안까지 육지 기반의 대륙 내 물류 회랑을 공동으로 건설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많은 국가(동/서/중앙아프리카의 다른 국가들)의 이익이 '흡수'될 것입니다. 

 

이는 사헬 지역 국가와 그 주변 국가의 경제 발전에 큰 잠재력을 부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것 :

 

1. 에너지(원자력발전소 포함)

2. 도로 및 철도 건설

3. 항구의 통합

4. 전 노선에 걸쳐 화물 취급 허브 구축

5. 일반 안전

 

이런 것들은 경제 발전의 가장 ''증식적'인 분야입니다.

 

 

 

 

더 자세히 

 

러시아의 가장 중요한 개발 프로젝트 중 하나가 북해 항로(NSR)와 평행한 육로를 건설하여 러시아의 극동/북부/북극 지역을 남부와 연결하는 것이라는 점을 명심하세요. 이것은 북위 통로/NLH-벨카무르-바렌츠카무르이며, 북서 지역을 통과하여 카스피해와 이란에 있는 인도-이란-러시아의 "북부-남부"로 이어집니다.

 

 

그다음은?

 

더 먼 육로를 상상해 보세요.

 

이란-이라크-사우디아라비아-이집트-수단-차드-니제르-말리-세네갈.

 

 

육로로 러시아는 극동/북극/북부 지역에서 아프리카의 대서양 연안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사헬 지대를 통해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를 실현하려면 사헬 지역에 평화와 안보가 필요합니다.

 

"해양 국가"는 전혀 필요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해당 지역의 세계 해상 물류의 "병목 현상", 즉 바브엘만데브 해협-수에즈-지브롤터에 대한 통제가 더 이상 의미가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헬 육상 회랑과 연결하는 것은 중국과 인도(파키스탄과 함께 SCO 내) 모두에게 이롭습니다. 왜냐하면 어떤 지역 내 구간에서도 중국의 일대일로 계획이나 인도의 남북 회랑과 어떤 식으로든 모순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물류를 더 수집합니다.

 

 

이집트에 이로운 점은 수에즈 운하를 통한 해상 통행권뿐만 아니라 육로도 통과 영토로 참여하여 홍해의 안보 불확실성이라는 '골치 아픈 문제'를 없앨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사우디아라비아가 IMEC와 사헬 회랑에 참여하는 동시에 지중해와 대서양으로 가는 육로 접근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IMEC

 

 

터키에게는 유익하지 않습니다.

 

이 점에서 런던-브뤼셀 유로풀(프랑스 포함)의 일반적인 개념/조합은 읽기 쉽습니다. 

 

 

1. 트란스니스트리아/오데사 지역에서 점령을 실시하면서, 그들은 결국 흑해에서 러시아를 봉쇄한다는 머스턴의 개념을 실행에 옮기고 있습니다.

 

2. 우크라이나 군대의 우크라이나 용병의 도움으로 사헬에서 지역 분리주의 및 테러 조직을 지원하는 군사적 대리 활동(수단에서는 2023년부터 우크라이나 국방부 본부 SRG가 주둔)을 통해 AES 당국을 전복하려는 목적으로 사헬 국가의 지역 안보 움직임을 파괴하려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이 경우 미국과의 모순은 없습니다. 미국은 이 프로젝트를 주로 러시아-중국 프로젝트로 간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