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꿀팁

소련은 1939년 9월에 폴란드를 침공하지 않았다

인생 자체가 친미인 김지윤의 인기 있는 강의입니다. 이 영상은 비의도적인 무지와 의도적인 오도가 넘쳐납니다.

 

그러나 한가지만 지적해 두겠습니다.

 

소련은 1939년 9월에 폴란드를 침공하지 않았다는 사실입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M7Nc9mOnVcg 

이런 세뇌 피해자들의 구걸에 적선하지 마세요.

 

1939년 9월, 소련이 폴란드를 침공했는가?

 

정직한 대답: 아니요, 그렇지 않았습니다.

 

 

의심할 여지도 없이 명백합니다. 소련이 폴란드를 침공하지 않았다는 가장 큰 이유는 당시 영국과 프랑스는 자기 나라도 아닌 다른 국가인 체코슬로바키아를 "분할"하자는 히틀러와 불가침 조약에 서명했습니다. 1938년 9월 30일에 체결된 뮌헨 협정이 바로 그것입니다.

뮌헨협정: 왼쪽부터 네빌 체임벌린(영국), 에두아르 달라디에(프랑스), 히틀러(독일), 무솔리니(이탈리아), 그리고 갈레아초 치아노(이탈리아)

 

폴란드 역시 체코슬로바키아의 "분할"에 참여했습니다. 폴란드는 체코슬로바키아의 치에신(Cieszyn) 지역의 일부를 점령했는데, 이곳은 폴란드인 인구도 소수에 불과한 지역이었습니다. 이 침략과 점령은 뮌헨 협정에서 합의되지도 않았습니다. 그러나 프랑스도, 영국도, 이탈리아도 이에 대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의 묵인(뮌헨 불가침 조약) 하에 히틀러는 이듬해인 1939년 3월에 체코슬로바키아의 나머지 부분마저 점령했습니다. 이것은 뮌헨 협정에서 예견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영국, 프랑스, ​​폴란드는 이에 대해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았습니다.

 

1939년 9월 17일, 소련군이 국경을 넘었을 때 폴란드 지역에는 정부가 기능을 멈췄던 상태였습니다. ​​더 이상 정부가 없다는 사실은 폴란드가 더 이상 국가가 아니었다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9월 17일, 몰로토프가 소련 주재 폴란드 대사 그지보프스키에게 보낸 메모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그지보프스키는 몰로토프에게 정부가 보고해야 할 정부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지만 부쿠레슈티(루마니아)로 연락해야 한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말했습니다. 

 

9월 18일자 뉴욕타임스 4면(루마니아, 체르나우티 발신과 날짜 표시 확인)에 따르면, 폴란드 정부의 마지막 요소들이 국경을 넘어 루마니아로 들어가 9월 17일에 사실상 억류되었습니다.

 

정부가 없는 국가로서의 폴란드는 국제법에 따라 더 이상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바로 이 사실이 서구 세계에서 부인되는 것입니다. 부인이라기보다는 그저 무시됩니다.

 

처칠이 왜 폴란드를 "유럽의 탐욕스러운 하이에나"라고 말했겠습니까? 폴란드가 독일과 함께 체코슬로바키아 분할에 참여했기 때문일까요?

 

그리고 1939년 8월 19일, 소련과 독일은 "몰로토프-리벤트로프 조약(독일-소련)"이라는 불가침 조약에 서명했습니다.

 

이것이 독일이 서명한 마지막 불가침 조약이었습니다.

 

 

 

이전 파시스트 독일은 다른 유럽 및 서방 국가와 다음과 같은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 1933년 영국, 독일, 이탈리아, 프랑스 사이에 체결된 4인 조약.

 

"4인 조약"은 유럽 전역에 패권을 행사하려는 4개 강대국이 국제 연맹의 "지시"에 반대하려는 시도였습니다. 소련을 무시하고, 4대 강대국은 소련을 고립시키는 정책을 추구함과 동시에 다른 유럽 국가들의 문제에 소련을 참여시키지 않으려고 했습니다.

 

"Pact of four"는 "독일 및 이탈리아 파시즘과 영국 및 프랑스 정부의 음모를 의미하며 공격적인 의도를 숨기지 않았습니다. 파시스트 국가와의 조약은 독일, 이탈리아, 일본과 같은 침략 국가에 대한 평화로운 국가의 연합 전선을 강화하는 정책을 포기하는 것을 의미했습니다.

 

1934년 1월, 독일-폴란드 불가침 조약. 독일-소련 불가침 조약 체결 5년 전!

 

이 조약에는 전쟁 중에도 계속 유효하다는 조항이 있습니다.

 

 

1935년 6월 18일, 영국-독일 해군 협정(AGNA)

 

"해군 무장 제한에 관한 영국 폐하 정부와 독일 정부 간의 각서 교환"

 

"독일 함대의 전력은 대영제국 함대의 총전력과 관련하여 35%"라는 히틀러의 요구에 영국 정부는 동의했습니다. 35(독):100(영)의 비율로 독일 함대의 총톤수와 등급이 풀렸습니다. 독일의 잠수함 전력과 관련하여 영국과 동등한 자격이 있었지만 영국 잠수함 전력 톤수의 45%를 초과할 수 없었습니다. 이 제한을 위반하는 경우 독일은 영국 정부에 알립니다. 독일은 또한 1922년 워싱턴 조약과 1930년 런던 조약에 따라 부과된 질적 제한을 준수할 의무를 지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1935년 8월 31일, 미 의회는 처음으로 중립법(1935-1937)을 통과시켰습니다.(1941년에 대부분 폐지)

 

1936년, 해협 체제에 관한 몽트뢰 협약이 채택되었습니다. 1936년 7월 20일에 서명되어 1936년 11월 9일에 발효되었습니다. 호주, 영국, 불가리아, 프랑스, ​​독일, 그리스, 일본, 소련, 터키, 유고슬라비아가 참가했습니다.(소련을 봉쇄하기 위한 조약입니다.)

 

 

반코민테른 협정1936년 11월 25일, 나치 독일과 일본 제국 사이에 체결된 반공산주의 협정으로 제3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을 겨냥했습니다.

파시스트 연대 결성(나치와 일제)

1936년 반코민테른 조약의 내용은 여기를 보세요.(귀중한 자료입니다) 코민테른에 대항하는 투쟁의 기치 아래 세계 패권을 쟁취하기 위한 군사 동맹입니다. 한마디로 반소련 조약이었습니다.

 

1937년 11월에 이탈리아가 "반코민테른 조약"에 가담했고 이후에 다른 많은 국가들도 가입했습니다. 1939~40년에 조약은 삼국동맹이라 불리는 군사 동맹으로 공식 전환되었습니다.(Berlin Pact)

 

영국의 브리타니카 백과사전: 반코민테른 협정, 처음에는 독일과 일본 사이(1936년 11월 25일)에 이어 이탈리아, 독일, 일본 사이(1937년 11월 6일)에 체결된 협정으로, 표면적으로는 공산주의 인터내셔널(코민테른)을 반대하지만 함축적으로는 특히 소련을 반대하는 것이었다. 조약은 당시 볼셰비즘에 대해 공개적으로 비난하고 중국과의 전쟁에서 일본의 성공에 관심이 있었던 아돌프 히틀러가 추구했다. 일본은 1936년 8월의 소련-중국 불가침 조약과 이후 소련 군용기와 군수품을 중국에 판매한 것에 분노했다. 선전 목적으로 히틀러와 베니토 무솔리니는 소련 공산주의의 위협에 맞서 서구 가치의 수호자로 자신을 내세울 수 있었다.

 

 

1938년 3월 12일~1938년 3월 13일, 오스트리아 병합(Anschluss): 오스트리아와 독일 연합.

 

 

▶ 1938년 9월 30일, 뮌헨 협정(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체코슬로바키아에서 독일로 주데텐란트 이전에 관한 협정.

 

뮌헨 Führerbau에서 9월 29~30일에 열린 회의였습니다. 이탈리아가 제안하고 체임벌린(영국), 달라디에(프랑스)가 수락하는 형식이었지만, 앞서 히틀러가 체임벌린과의 회담에서 합의한 것과 다르지 않았습니다. 그 후, 체코슬로바키아 대표단이 협정이 체결된 강당으로 초대되었습니다.

 

영국과 프랑스 지도부는 체코슬로바키아 정부에 압력을 가했고, 베네시 체코슬로바키아 대통령은 국회의 동의 없이 합의에 동의했습니다. 당시 루스벨트 행정부는 공개적으로는 전쟁을 피하기 위한 뮌헨 협정을 환영했지만 속으로는 그것이 신속한 재무장을 요구하는 연기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1938년 10월: 제2차 세계 대전의 진정한 시작, 뮌헨 조약에 따라 독일, 폴란드, 헝가리가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하고 분할했습니다. 뮌헨 조약은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가 서명하고 미국이 환호했습니다.

 

 

영상에서 침공 사진을 확인하세요.

https://youtu.be/FcXM9KkvBss

 

 

영국과 프랑스는 소련과의 반히틀러 조약 체결을 거부했습니다.

 

 

1938년 9월 30일에(뮌헨 협정), 영국과 독일은 상호 불가침 선언에 서명한 상태였습니다.

 

 

1938년 12월 6일, 프랑스-독일 불가침 조약이 체결되었습니다.

 

 

1939년, 독일-루마니아 경제 조약 및 협정

 

군주제 파시스트 루마니아에 부과된 조약은 루마니아 경제를 나치 독일의 군사적 필요에 의존하게 만들었습니다.

 

 

1939년 3월, 독일과 리투아니아 간의 불가침 조약 클라이페다에 독일이 최후통첩 이후 이미 서명된 것이었습니다.

 

 

1939년 5월 22일, 독일과 이탈리아가 체결한 "강철 조약".

 

1939년, 독일과 발트 3국 간의 불가침 조약.

 

독일의 경우 조약의 목적은 발트 3국에서 소련의 영향력을 막는 것이었습니다. 리투아니아와의 불가침 조약은 이미 1939년 3월에 체결되었습니다.

 

발트 3국은 폴란드 침공 계획에 개입하는 소련을 막는 장벽 역할을 하게 되었습니다.

 

독일은 1939년 4월 28일,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핀란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과 불가침 조약을 제안했습니다.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는 거부했습니다. 초안 조약은 5월 초에 준비되었지만 라트비아가 설명을 요청했기 때문에 서명이 두 번 연기되었습니다.

 

 

1939년 9월 5일, 미국은 제2차 세계대전이 시작된 후 두 개의 중립 선언문을 발표했습니다.

 

Roosevelt는 또한 해군에게 미국 대서양 연안이나 서인도 제도를 따라 "중립" 순찰을 수행하도록 명령합니다.

 

1930년대 후반에 나치 독일은 터키, 그리스, 불가리아, 루마니아, 유고슬라비아의 수입과 수출의 50% 이상을 통제하는 위치에 있었습니다.

 

 

1940년 9월 27일, 그리하여 독일, 이탈리아, 일본이 삼국 조약을 체결하기에 이릅니다

 

 

1941년 6월 18일, 터키-독일 불가침 조약에 서명했습니다.

 

 

끝으로, 왜곡된 역사를 바로 보고 싶다면 여기를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