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시사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선의 맹활약 ▶ 쿠르스크 지역에 김정은의 "사자들". 이건 이미 센세이션이에요! 게라시모프의 성명 러시아 참모총장 발레리 게라시모프는 쿠르스크 지역의 완전 해방을 선언했습니다. 동시에 그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군의 행동에 대해 보고했습니다.( 러시아에 도착하여 전투 훈련을 받은 후 우크라이나 무장 세력으로부터 쿠르스크 지역을 해방하는 데 참여한 조선군을 부르는 이름이 브랴트, 즉 사자들입니다.) 그들은 이미 센세이션이에요.참모총장의 보고보고 내용 이전에 러시아 국방부나 크렘린은 쿠르스크 지역 전투에 조선 군인이 참여했다는 사실을 보고한 적이 없습니다. 김정은의 "사자"들에 대한 모든 발언은 비공식적이었습니다. 다양한 군사 텔레그램 채널과 내부자들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전투원.. 더보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웅들의 참여로 쿠르스크 지역 해방 작전이 완료 최고사령관은 러시아 연방군 참모총장 발레리 게라시모프로부터 쿠르스크 지역을 침공한 우크라이나 군대의 격파 완료에 대한 영상 보고를 수행했습니다. V. 푸틴: 발레리 바실리예비치, 쿠르스크 방면에서 일어나는 최근 사건에 대한 정보를 당신이 가지고 있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지난 24시간 동안의 전투 작전의 결과와 그 이전 기간 전체의 결과는 무엇입니까? V. 게라시모프: 최고사령관 동지! 오늘, 쿠르스크 지역의 마지막 정착지인 고르날 마을이 우크라이나군으로부터 해방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제72사단 제22기계화소총연대, 제810해병여단과 제40해병분리여단, 제177해병분리연대, 제1427기계화소총연대의 부대가 특히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이로써 쿠르스크 지역을 침공한 우크라이나군의 무장 세력은 격파되었.. 더보기 중국 특색의 양적 완화 중국은 단 40년 만에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 하나에서 세계적인 경제 강국으로 발돋움했습니다. 현재 뉴스에서 주목받는 것은 혁신적인 중국 기업가들이 개발한 무료 오픈소스 AI인 DeepSeek입니다. 이 AI는 거대한 AI 버블에 불을 지폈습니다 . 그러나 더욱 인상적인 것은 중국이 건설하는 인프라입니다. 약 4만 8천 km(지구 둘레보다 길다)의 고속철도, 세계 최대 규모의 수력 발전소, 세계 최장의 해상 교량, 약 16만 km의 고속도로, 세계 최초의 상업용 자기 부상열차, 세계 최대 규모의 도시 지하철망, 세계 10대 항구 중 7곳, 그리고 전 세계 재생에너지 용량의 35% 이상을 차지하는 태양광 및 풍력 발전 등이 그 예입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것은 140개국이 참여하는 인프.. 더보기 다윗 회랑 이스라엘이 시리아와 요르단 국경을 따라 띠 모양의 지역을 간접 지배함으로써 자국에서 이라크 북부 쿠르드족 지역까지 연결하는 "다윗 회랑"을 만드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집니다. 이스라엘이 미국으로부터 중동의 패권을 물려받고 쿠르드족을 부양해 이란과 이라크(시아파), 터키에 맞서게 하려는 술책입니다.구약에는 (유프라테스강에서 나일강까지) 두 개의 강에 낀 지역을 하나님으로부터 받지 못한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이스라엘 국기의 상하에 있는 하늘색 띠는 2개의 강, 가운데는 다윗의 별을 나타냅니다). 쿠르드 지역은 티그리스/유프라테스 유역이고 이스라엘은 이미 나일 유역의 이집트를 괴뢰화하고 있으며, 나일강 상류에 수단 내전에도 개입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은 두 강에 낀 지역을 점점 먹어 들어가고 있.. 더보기 한/중/일 외무장관 행사 3월 22~23일, 도쿄에서 대한미국, 중국, 일본의 외무장관이 참석하는 일련의 주목할 만한 행사가 열렸습니다. 또한, 중국-일본 "경제 대화"가 재개되었습니다. "한-중-일"이라는 정치 플랫폼은 2010년대 초에 수립되었으며, 3자 자유무역지대(FTZ)를 점진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주요 목표라고 선언했습니다. 그 당시에는 가장 선견지명이 있는 전문가만이 2019년 국제 정세, 특히 동북아시아의 급격한 악화를 예견할 수 있었습니다. 3자 자유무역지대를 형성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 플랫폼의 정기적인 운영을 유지하는 과정이 그 해에 시작되었습니다. 세 참가자 모두 2023년 말에야 기능을 재개할 수 있다고 여겼는데, 그때 세 나라의 외무장관 간 협상이 이루어져 최고위급 정상회담을 준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이 .. 더보기 아프리카 해방과 제국 독립과 통일을 위해 노력한 아프리카의 역사는 말 구대로 우여곡절과 좌절로 가득했습니다. 그러나 오늘날 우리는 이 진행 중인 과정에서 새로운 단계를 목격하고 있습니다. 범아프리카주의의 전망,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단계, 대륙 주민 간의 복잡한 관계, 그리고 아프리카가 로마 황제에서 그레타 툰베리에 이르기까지 유럽의 길을 반복할 것인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통합된 아프리카"라는 개념이 여러 단계를 거쳐 진화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어떻게 특징지을 수 있을까요? 여러 단계가 있었습니다. 첫 번째(예비) 단계는 마커스 가비(20세기 초 세계 흑인 운동의 지도자 중 한 명)와 라이베리아 국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아프리카인을 해방하려는 노력의 첫 번째 산물이었습니다. 핵심은 북아메리카에서 돌.. 더보기 금은 누가 차지할까? 1971년에 미국은 갑자기 금본위제를 포기했고, 리처드 닉슨 당시 미국 대통령은 공식 성명을 통해 텔레비전 카메라를 바라보며 "우리는 이제 모두 케인즈주의자입니다."라고 말했습니다.당시 이미 아주 적은 양이었지만 금을 사고 있었던 아버님은 그 미친놈의 얼굴을 보고 "최악이구만!"이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그러나 세계는 대체로 닉슨 대통령의 의견에 동의하는 듯했고, 몇 년 안에 다른 나라들도 금본위제를 포기했습니다. 즉, 그 이후로 어떤 통화도 입에 발린 약속 외에 다른 어떤 것으로 뒷받침되지 않게 되었습니다. 축제 분위기 곧 각국은 통화를 가지고 놀기 시작했습니다. 한때 독일 마르크, 프랑스 프랑, 이탈리아 리라, 영국 실링은 모두 가치가 거의 비슷했으며, 그중 4~5개가 약 1달러의 가치가 있었습니다.. 더보기 현실 속으로: 정치적 진자에서 벗어나다(2/2) 지난 글에서 보았듯이, 정치적 진자는 최근 몇 년 동안 다시 한번 이동했습니다. 이제 우익 정당과 포퓰리스트 운동이 전 세계적으로 권력을 장악하고 있으며, 굳건한 좌익 기득권과 ESG 지원, DEI 촉진, AGW 두려움, 2 SLGBTQ+-무지개 깃발 흔들기 정통성을 무너뜨리고 있습니다. 참으로 다행스러운 일이긴 합니다만... 하지만 이제 진자가 분명히 오른쪽으로 흔들리고 있는데, 이 "포퓰리스트 정치인"과 "반체제 급진주의자"는 실제로 무엇을 이루고 있는 것일까요? 우리가 진짜 혁명을 보고 있는 것일까요, 아니면 그저 똑같은 것을 더 보고 있는 것일까요? 그럼, 대중의 구호들이 현실과 어떻게 비교되는지 살펴보도록 할까요? 세계화는 끝났다!... 하지만 갑자기 20년 전 북미 연합의 침범에 항의했던 사.. 더보기 이전 1 2 3 4 ··· 9 다음